관련링크 : http://www.motie.go.kr/motie/ne/presse/press2/bbs/bbsView.do?bbs_cd_n=81&cate_n=1&bbs_seq_n=162905
 
 
 
 
 
 
| ◇ 포스트 코로나 산업전략 추진 ◇ 
  ㅇ 산업부, 포스트 코로나 5大 변화 및 8大 대응 과제 제시 
 · GVC 재편 대응, K-방역 및 K-바이오 글로벌화, 비대면 산업 육성 등 추진 
 · 산업질서 변화에 대한 종합전략, 가칭 「포스트 코로나 산업전략」 수립 
 
 
 ㅇ 산업·기업 위기 대응반 본격 가동으로 위기 극복과 포스트 코로나 준비  
 
 
 
 
 
 
 
 
 
 
 
 
 
 
 
 
 
 
 
 
 
 
 
 
 
 
 
 
 
 
 
 
 
 
 
 
 
 | 
 <포스트 코로나 5大 변화 및 8大 과제> |  | 
 구분 | 
 BC 
 (Before Corona) | 
 AC 
 (After Corona) | 
 대응과제 |  | 
 보건환경 | 
 간헐적 감염병 | 
 감염병 빈발 | 
 ➊ K-방역·K-바이오 글로벌 상품화➋ 산업현장 대응력 강화 |  | 
 글로벌 조달 | 
 로컬 조달 | 
 ➌ GVC 재편 → 청정 생산기지 구축 |  | 
 경제환경 | 
 대면 
 석유수요 증가 | 
 非대면 
 석유수요 감소 | 
 ➍ 비대면산업 육성 
 ➎ 산업구조의 친환경 전환 |  | 
 기업경영 | 
 비용절감, 효율 | 
 재고확보, 회복력 | 
 ➏ 기업활력 촉진+사업재편 활성화 |  | 
 사회가치 | 
 개인·효율 | 
 연대·협력 | 
 ➐ 기업간 연대 및 협력 |  | 
 교역환경 | 
 자유무역 
 신자유주의 | 
 보호무역 | 
 ➑ 글로벌 협력 리더십 | 
 | 
【산업전략 대화 및 산업반 1차회의 개요】
□ 산업통상자원부는 5.6일(수) 10:00 성윤모 장관 주재로 “포스트 코로나 산업전략 대화 및 산업‧기업 위기 대응반(비경중대본) 1차 회의”를 개최
| 
 | 
 【산업전략 대화 개요】 | 
 | 
| 
 | 
 | 
| 
 ‧ 일시/ 장소 : 5.6(수), 서울 대한상의 회의실 1층 BC룸 
 ‧ 참석자 : 산업부장관, 관계부처(농식품부·환경부·중기부 등 12개), 산‧학‧연 전문가 등 총 23명 
 ‧ 논의사항: ➀그간 산업‧기업 지원대책 점검 ➁ 포스트 코로나 시대 산업정책 방향 | 
□ 금번 산업대화는 ➀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旣발표 산업‧기업 지원 대책의 추진상황을 점검하고 산업 현장의 애로사항을 점검하기 위한 차원
ㅇ 또한, ➁코로나19로 인한 세계적 산업‧경제 질서의 재편에 대응하여 포스트 코로나 시대 산업전략을 논의
□ 바이오·방역, 비대면 경제, 글로벌 공급망 등 코로나 이후 산업 변화와 관련된 민간 전문가를 초청하여 향후 산업전략 방향에 대한 의견을 수렴